구독 서비스 관리로 절약하는 방법
구독 서비스 관리로 절약하는 방법 궁금하신가요? 한때 유행했던 MBTI 유형검사, 아마 대부분이 한 번쯤은 해봤을 것이다. 그중에서도 ‘계획형(J)’과 ‘비계획형(P)’의 차이는 일상생활에서 꽤 명확히 드러난다. 나는 스스로 ‘비계획형(P)’의 전형적인 예시라고 생각한다. 계획 없이 흘러가는 걸 즐기고, 유연한 삶을 선호하지만 그만큼 돈 관리에는 허술한 구석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게 바로 구독 서비스였다. 넷플릭스, 왓챠, 티빙, 쿠팡플레이, 멜론, 애플뮤직까지! 처음엔 ‘이건 꼭 있어야 해’라며 합리화하며 시작했지만, 나중에 보면 하나도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자동결제만 반복되고 있었다.
특히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 서비스는 각각의 콘텐츠가 다르다는 이유로 모든 플랫폼을 구독했지만, 현실은 달랐다. 일이 끝난 후 피곤한 상태로 집에 들어오면 볼 힘도 없고, 왓챠는 마지막 접속일조차 기억나지 않았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찾는 데도 한참이 걸릴 정도였다.
구독 중인 서비스 파악
구독형 서비스는 대부분 정기 자동결제 시스템이다. 한 번 등록하면 매달 일정 금액이 빠져나가고, 우리는 종종 그 존재조차 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소비는 ‘깨진 독에 물 붓기’와 같다. 쌓이지도 않고, 남지도 않는다. 단지 조용히 빠져나간다.
나 역시 처음엔 ‘이거는 꼭 필요해’라는 이유로 이용하지도 않는 플랫폼을 쌓아뒀다. 지금 생각해보면, 자기합리화의 대표적인 소비 패턴이었다.
실제로 카드 명세서를 열어보고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매달 꼬박꼬박 빠져나가는 2,000원, 5,900원, 14,900원… 크게 보이지 않지만, 모이면 월 4만~5만 원. 1년이면 60만 원이 넘는 돈이 그냥 사라지고 있었다.
이런 소비는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에서 말하는 ‘나쁜 지출, 나쁜 빚’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당장 내 자산이 되지 않고, 쌓이지 않으며, 습관이 되면 오히려 나를 가난하게 만든다.
구독 서비스 관리 방법
중요한 건 무조건 줄이라는 게 아니다. ‘내가 정말 쓰는지’, ‘혼자 다 부담할 필요는 없는지’, 그리고 ‘대체 가능한 방법은 없는지’를 따져보는 것이다.
나는 먼저 모든 구독 목록을 한눈에 정리했다. 그다음 아래 기준에 따라 하나씩 분류했다.
- 최근 1주일 안에 사용한 적이 있는가?
-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쓰는가?
- 공유 가능한가? 친구, 가족과 나눠 쓸 수 있는가?
이렇게 정리해보니 넷플릭스는 가족과 함께 프리미엄 요금제를 나눌 수 있었고, 멜론은 유튜브 프리미엄으로 대체 가능했다. 왓챠와 티빙은 그동안 거의 사용하지 않아 해지했고, 덕분에 매달 약 17,000원의 비용을 아꼈다.
또한, 무료 체험 기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다. 특정 콘텐츠 하나만 보고 해지할 수 있으니 캘린더나 메모앱에 ‘해지 예정일 알림’을 설정해두는 센스는 필수다.
구독을 줄인 소비 올바르게 쓰는 방향
정기결제를 줄이면서 가장 크게 느낀 건 ‘내가 필요 없는 걸 참았다는 게 아니라, 필요하지 않았던 걸 버렸을 뿐’이라는 점이었다. 내가 선택한 구독은 매일 아침 듣는 유튜브 음악, 그리고 가족과 나누는 넷플릭스뿐이다. 그 외의 서비스는 ‘언젠간 볼지도 몰라서’ 구독했지만, 그 ‘언젠가’는 오지 않았다.
지금은 정리된 구독 서비스 덕분에 카드값도 줄었고, 내 생활도 훨씬 깔끔해졌다. 더 이상 안 쓰는 앱을 찾아 헤매지 않아도 되고, 내가 선택한 콘텐츠를 의식적으로 소비하는 습관도 생겼다.
무작정 줄이는 절약이 아니라, 스스로 통제 가능한 소비 구조를 만드는 것. 그게 진짜 구독 관리이고, 1인가구에게는 가장 실천하기 쉬운 생활비 절약법이라는 걸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댓글
댓글 쓰기